삼성전자 DX부문의 서비스 기획자이자 PM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경영학을 전공했고, 과거에는 현대자동차 계열사의 기업과 AI 스타트업에서 플랫폼 기획을 담당했었어요. 그 후 1년 조금 안되는 시간 동안 인사팀 채용파트에 머무르기도 했답니다.
서비스 기획은 신입을 잘 뽑지 않는 직무이다 보니, 정보도 조언도 많이 부족했어요.
T/O 자체가 많지 않아 원하지 않는 직무들을 어쩔 수없이 지원하기도 하고,
해결되지 않는 고민을 오랜 시간 혼자 안고 끙끙대기도 했답니다.
주니어 PM으로서 그 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을 이제야 깨닫고 있는 지금,
여러분의 고민을 조금이나마 덜어드리고 싶어요.
제가 특히 이야기드리고 싶은 부분들은 아래와 같아요 🙄
1️⃣ 서비스 기획자로서 ‘+α’ 만들기
- 사실 서비스 기획/PM은 Specialist라기 보단 Generalist의 영역에 가까워요. 물론 여러 방면에서 뛰어난 역량을 지니고 있다면 좋겠지만, 언제 찾아올지 모를 이직의 가능성을 열어두고 조금 더 ‘뾰족한’ 서비스 기획자가 되기 위해서는 본인만의 kick point가 필요합니다. 저의 경우 과거 대학에서 수강했던 데이터 분석 수업과 코딩 스터디, 데이터 분석 자격증 등을 통해 ‘데이터를 읽고 본인의 방식대로 해석할 수 있는 서비스 기획자’로서 포지셔닝하려고 했답니다. 더 매력적인 서비스 기획자가 되기 위해 여러분도 모르는 여러분의 kick point를 함께 찾아드릴게요!
2️⃣ 나의 커리어를 서비스 기획자로 시작할 수 있을까?
- 서비스 기획은 신입 안뽑는다던데… 채용 T/O에서도 서비스 기획은 잘 보이지 않고… 어떤 지원 전략을 세워야 할지, 막연히 서비스 기획만 고집하는게 맞을지 고민되실 거예요(저도 정확히 같은 고민을 했었답니다). 하지만 우리는 평생 하나의 직장만 다니진 않을테니, 더 큰 그림 속에서 어떤 커리어 패스를 만들어나가면 좋을지 함께 이야기해보아요.
3️⃣ 효율화/자동화를 통해 자소서 1시간만에 완성하기
- 두 번의 시즌 동안 취업을 준비하며 약 40개 정도의 지원서를 작성했어요. 처음엔 일주일 동안 자소서 하나도 겨우 완성했던 제가, 나중엔 하루에도 3-4개의 지원서를 작성하고 제출하게 되었습니다. (물론 퀄리티가 떨어져서는 안되겠죠) 몇 개의 완성도 높은 자소서만 있다면, 나중엔 그 속도를 훨씬 높일 수 있어요. 어차피 나의 경험은 변하지 않으니까요! 제가 어떤 방법으로 다양한 지원서를 관리하고 효율화했는지 들려드릴게요.
4️⃣ 치밀한 면접 준비를 위해 필요한 것
- J 성향이 강한 저에게 면접이란 준비하고 또 해도 늘 부족함이 보이는 영역이었어요. 그래서 면접 전 이런 저런 정보들을 계속해서 찾아 헤맸는데, 나중에는 하나의 프로세스로 만들어지는 경험을 했습니다. 실제로 창의력을 확인하는 돌발 질문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직무/기업/경험 기반의 질문들은 제가 예상한 범위 내에서 이루어졌어요. 치밀한 면접 준비를 위해 어떤 것들이 필요한지 알려드릴게요.
한정된 멘토링 시간을 더욱 알차게 보내기 위해 사전에 아래와 같은 내용을 전달해주세요!
(사전 질문은 구체적일수록 좋습니다 🤓)
1. 본인의 상황 (전공, 경력, 경험 등)
2. 현재 본인의 가장 큰 목표 (목표 기업과 직무, 인턴 경험,
3. 앞에 놓인 고민들 (자세할수록 좋아요!)

서비스 기획자
Yehwan Lim 입니다.
멘토링 리뷰
전체
0개
아직 충분한 평가를 받지 못한 멘토링입니다.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리뷰의 주인공이 되어주세요!
₩22,000
30분· 1회 최대 1인